모의고사 - 2020.06.06(1과목 : 소프트웨어 설계) 20문항

2022. 4. 4. 00:34정보처리기사 - 필기/모의고사 문제 해설

럼바우(Rumbaugh) (tistory.com)

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제가 올린 문제와 같은 문제를 풀어보실수 있습니다.

공부의 목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궁금하시거나 헷갈리시는 문제가 있으시면 제 블로그를 통해 도움을 얻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제가 작성한 내용이 틀린 경우에는 댓글로 남겨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검토회의 전에 요구사항 명세서를 미리 배포하여 사전 검토한 후 짧은 검토 회의를 통해 오류를 조기에 검출하는데 목적을 두는 요구사항 검토 방법은?

1. 빌드 검증

2. 동료 검토

3. 워크 스루

4. 개발자 검토

 

요구사항 검토 방법에는 동료 검토, 워크 스루, 인스펙션 이렇게 3가지 방법이 있으며 요구사항 명세서를 회의 전에 미리 배포하여 조기에 오류를 검출하는 방식은 워크 스루입니다.

정답은 3번 요구사항 검토 방법 (tistory.com)

 

2. 코드 설계에서 일정한 일련번호를 부여하는 방식의 코드는?

1. 연상 코드

2. 블록 코드

3. 순차 코드

4. 표의 숫자 코드

 

최초의 자료부터 순차적으로 일련번호를 부여하는 방식의 코드를 순차 코드라고 합니다.

정답은 3번 코드 (tistory.com)

 

3. 객체지향 프로그램에서 데이터를 추상화하는 단위는?

1. 메소드

2. 클래스

3. 상속성

4. 메시지

 

데이터를 추상화하는 단위는 클래스입니다.

정답은 2번 객체지향(Object-Oriented) (tistory.com)

 

4. 데이터 흐름도(DFD)의 구성요소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process

2. data flow

3. data store

4. data dictionary

 

데이터 흐름도의 구성요소에는 Process, Data Flow, Data Store, Terminator 이렇게 4가지가 있습니다.

정답은 4번 데이터 흐름도(DFD) & 자료 사전(DD) (tistory.com)

 

5. 소프트웨어 설계시 구축된 플랫폼의 성능특성 분석에 사용되는 측정 항목이 아닌 것은?

1. 응답시간(Response Time)

2. 가용성(Availability)

3. 사용률(Utilization)

4. 서버 튜닝(Server Tuning)

 

플랫폼 성능특성 분석에 사용되는 측정 항목은 응답시간, 경과시간, 가용성, 사용률 입니다. 

정답은 4번 현행 시스템 분석 (tistory.com)

 

6. UML 확장 모델에서 스테레오 타입 객체를 표현할 때 사용하는 기호로 맞는 것은?

1. 《 》

2. (( ))

3. {{ }}

4. [[ ]]

 

UML 확장 모델에서 스테레오 타입객체를 표현할 때 사용하는 기호는 《 》 입니다.

정답은 1번 UML (tistory.com)

 

7. GoF(Gang of Four)의 디자인 패턴에서 행위 패턴에 속하는 것은?

1. Builder

2. Visitor

3. Prototype

4. Bridge

 

1. Builder : 생성 패턴

2. Visitor : 행위 패턴

3. Prototype : 구조 패턴

4. Bridge : 구조 패턴

정답은 2번 디자인 패턴 (tistory.com)

 

8. 자료 사전에서 자료의 생략을 의미하는 기호는?

1. { }

2. **

3. =

4. ( )

 

= : 정의

+ : 연결

{ } : 반복

[ ] : 선택

( ) : 생략

** : 주석

정답은 4번 데이터 흐름도(DFD) & 자료 사전(DD) (tistory.com)

 

9. 트랜잭션이 올바르게 처리되고 있는지 데이터를 감시하고 제어하는 미들웨어는?

1. RPC

2. ORB

3. TP-monitor

4. HUB

 

TP-monitor : 트랜잭션 처리 모니터, 트랜잭션 처리를 감시하고 제어하는 미들웨어입니다.

정답은 3번 미들웨어 (tistory.com)

 

10. UI 설계 원칙에서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은?

1. 유효성

2. 직관성

3. 무결성

4. 유연성

누구나 쉽게 이용하고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은 직관성입니다.

유연성은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최대한 포용하고, 실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제작하는 것을 말합니다.

정답은 2번

 

11. XP(eXtreme Programming)의 5가지 가치로 거리가 먼 것은?

1. 용기

2. 의사소통

3. 정형분석

4. 피드백

 

XP의 5가지 핵심 가치는 의사소통 단순성 용기 존중 피드백입니다. 

정답은 3번 XP(eXtreme Programming) (tistory.com)

 

12. UML 모델에서 사용하는 Structual Diagram에 속하지 않은 것은?

1. Class Diagram

2. Object Diagram

3. Component Diagram

4. Activity Diagram

 

Activity Diagram은 행위적 다이어그램입니다.

정답은 4번 UML (tistory.com)

 

13.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 중 요구사항 분석(requirements annalysis)과 거리가 먼 것은?

1. 비용과 일정에 대한 제약설정

2. 타당성 조사

3. 요구사항 정의 문서화

4. 설계 명세서 작성

 

요구사항 분석 과정은 요구사항의 규명 - 타당성 조사 - 비용과 일정에 대한 제약설정 - 문서화 입니다.

설계 명세서 작성은 분석 과정 다음 단계인 요구사항 명세입니다.

정답은 4번 요구사항 (tistory.com)

 

14. 럼바우(Rumbaugh)의 객체지향 분석 절차를 가장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객체 모형 - 동적 모형 - 기능 모형

2. 객체 모형 - 기능 모형 - 동적 모형

3. 기능 모형 - 동적 모형 - 객체 모형

4. 기능 모형 - 객체 모형 - 동적 모형

 

럼바우의 분석 정차는 객체 모형 - 동적 모형 - 기능 모형 순입니다.

정답은 1번 럼바우(Rumbaugh) (tistory.com)

 

15. 공통 모듈에 대한 명세 기법 중 해당 기능에 대해 일관되게 이해하고 한 가지로 해석될 수 있도록 작성하는 원칙은?

1. 상호작용성

2. 명확성

3. 독립성

4. 내용성

 

공통 모듈에 대한 명세 기법에는 정확성, 명확성, 완전성, 일관성, 추적성이 있으며 1,2,4번은 이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그 중에서도 해당 기능에 대해 일관되게 이해하고 중의적이 아닌 한가지로 해석될 수 있도록 작성하는 기법은 명확성입니다. 공통 모듈 (tistory.com)

 

16. 객체지향 기법에서 클래스들 사이에 '부분-전체(part-whole)' 관계 또는 '부분(is-a-part-of)'의 관계로 설명되는 연관성을 나타내는 용어는?

1. 일반화

2. 추상화

3. 캡슐화

4. 집단화

 

part가 들어가면 집단화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일반화는 클래스들 간의  개념적인 포함 관계입니다. 자식 클래스와 부모 클래스간의 관계

정답은 4번

 

17. CASE가 갖고 있는 주요 기능이 아닌 것은?

1. 그래픽 지원

2. 소프트웨어 생명주기 전 단계의 연결

3. 언어번역

4. 다양한 소프트웨어 개발 모형 지원

 

CASE는 소프트웨어 개발시에 사용되는 분석 자동화 도구입니다.

언어번역은 CASE의 주요 기능이 아닙니다.

정답은 3번 XP & CASE (tistory.com)

 

18. DBMS 분석시 고려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가용성

2. 성능

3. 네트워크 구성도

4. 상호 호환성

 

DBMS 고려사항은 무결성, 일관성, 보안, 성능, 데이터베이스 확장 입니다.

네트워크 구성도는 DBMS 고려사항이 아닙니다.

정답은 3번 현행 시스템 분석 (tistory.com)

 

19. HIPO(Hierarchy Input Process Output)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상향식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문서화 도구이다.

2.  HIPO 차트 종류에는 가시적 도표, 총체적 도표, 세부적 도표가 있다.

3. 기능과 자료의 의존 관계를 동시에 표현할 수 있다.

4. 보기 쉽고 이해하기 쉽다.

 

HIPO는 하향식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문서화 도구이다.

정답은 1번 CASE & HIPO (tistory.com)

 

20. 객체지향 분석 방법론 중 E-R 다이어그램을 사용하여 객체의 행위를 모델링하며, 객체식별, 구조 식별, 주체 정의, 속성 및 관계 정의, 서비스 정의 등의 과정으로 구성되는 것은?

1. Coad와 Yourdon 방법

2. Booch 방법

3. Jacobson 방법

4. Wirfs-Brocks 방법

 

1. Coad와 Yourdon 방법 : E-R 다이어그램을 사용

2. Booch 방법 : 미시적, 거시적 개발 프로세스 모두를 사용

3. Jacobson 방법 : Use Case를 사용

4. Wirfs-Brocks 방법 : 분석과 설계 구분 없이 고객 명세서를 평가해서 설계 작업까지 연속적으로 수행

정답은 1번 객체지향 분석 방법론 (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