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9. 29. 11:56ㆍSK 쉴더스 루키즈
클라우드(Cloud)
데이터를 인터넷과 연결된 중앙컴퓨터에 저장한뒤 인터넷이 가능한 환경이라면 언제 어디서든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게 해주는 공간
서버를 물리적인 컴퓨터 자원으로 운영하게 되면 트래픽, 보안 등과 같은 문제가 발생 했을때 물리적인 장비를 추가 증설해야 하며 직접 관리하는데 여러가지로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듬
CSP가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해서 서버를 구축하게 되면 직접 관리 할 필요 없음
CSP에서 자동으로 관리 해주며 물리적 장치를 추가로 구매할 필요 없기 때문에 비용적 면에서도 훨씬 부담이 덜함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CSP, Cloud Service provider)
1위 : AWS(Amazon Cloud)
2위 : Azure(Microsoft)
3위 : GCP(Google Cloud Platform)
클라우드 종류
1)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 클라우드에서 *인프라를 제공해주는 서비스
- *인프라 : 가상머신, 네트워크, 스토리지
- 가상머신(Amazon Linux, macOS, Ubuntu, Windows, Red Hat 등)
- 네트워크(VPC, Subnet)
- 스토리지(S3)
- CSP에서는 인프라만 관리해주고 나머지는 사용자가 관리 해야함
- 장점 : 대부분 통제 가능하며 가격이 저렴함
- 단점 : 사용자가 직접 관리 해야하는 부분이 많음
2) PaaS(Platform as a Service)
- 클라우드에서 플랫폼을 제공해주는 서비스
- 플랫폼 : 개발자가 개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
- CSP에서는 인프라와 OS + 애플리케이션까지 관리
- 장점 : 설치되어 있는 Application을 사용하기만 함
- 단점 : OS와 Application에 대한 완전한 통제권을 갖기 어려움( root 권한이 없음)
3) SaaS(Software as a Service)
- 클라우드에서 소프트웨어를 제공해주는 서비스
- 사용자는 인증만 하면 모든 서비스를 사용 가능함
- 클라이언트용 SW만 설치하면 됨(지포스 나우)
- 지포스 나우 :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 제공, 로그인만 하면 원하는 게임을 할 수 있음)
- 장점 : IT 인력이 많이 필요 없음
- 단점 : 지원하는 서비스만 사용가능, 가격이 비쌈
컴퓨팅 설비 운영 방식
- On-Premise : 직접 자신의 회사 내에 물리적 서버, 네트워크 등을 구성해서 운영 ex) 국내 은행
- Hybrid : On-Premise와 Cloud를 섞어서 사용하는 방식
- All in Cloud : 모든 서버와 네트워크를 클라우드에 구성 ex) Netflix
- Multi-Cloud : 여러 회사의 클라우드를 사용하는 것 AWS과 Azure, GCP, NCP등을 사용
'SK 쉴더스 루키즈' 카테고리의 다른 글
IaaS - EC2 & RDS(gnuboard) (0) | 2022.09.30 |
---|---|
IaaS - DB(RDS_workbench) (0) | 2022.09.29 |
IaaS - VM(EC2_Window 2016) (0) | 2022.09.29 |
IaaS - VM(EC2_Ubuntu) (0) | 2022.09.27 |
IaaS - Network(VPC) (0) | 2022.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