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1. 23. 01:28ㆍ리눅스마스터 1급 - 필기/리눅스 실무의 이해
다중 명령어 : 여러 명령어들을 여러줄이 아닌 한줄에 입력할 수 있도록 해주는 명령어입니다.
1. 세미콜론(;)
한 줄에 여러 명령어를 입력하게 해줍니다.
세미콜론을 기준으로 명령어들을 구분했을때 앞의 명령어의 실행 여부와는 관계없이 뒤의 명령어들이 실행됩니다.
앞에서부터 순차적으로 명령어들이 실행됩니다.
앞의 명령어인 mkdi dir 은 명령어 오류로 인해 실행이 되지 않았지만 그것과는 상관 없이 뒤의 명령어가 잘 실행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두번 째 예시도 마찬가지로 앞의 명령어의 실행 여부와 상관 없이 뒤의 명령어가 잘 실행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2. 버티컬바(|)
버티컬바를 기준으로 명령어들을 구분했을때 앞의 명령어의 실행결과를 뒤의 명령어의 입력으로 넘깁니다.
파이프라고도 부릅니다.
cat으로 /etc/passwd 파일의 내용(앞의 명령어의 실행 결과)을 읽고 그 내용을 뒤의 grep 명령어의 입력으로 넘겨서 keum이 들어간 행을 출력시킵니다. 이와 같이 grep 명령어와 자주 같이 사용합니다.
3. 더블 버티컬바(||)
or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더블 버티컬바를 기준으로 명령어들을 구분했을때 앞의 명령어가 실행되면 뒤의 명령어들은 무시되고 앞의 명령어가 실행이 안되면 뒤의 명령어가 실행됩니다.
4. 엠퍼센트(&)
엠퍼센트를 기준으로 명령어들을 구분했을때 앞의 명령어는 백그라운드로 실행하고 뒤의 명령어가 바로 실행됩니다.
세미콜론과 마찬가지로 앞의 명령어의 실행 여부와는 관계없이 뒤의 명령어가 실행됩니다.
엠퍼센트는 뒤의 명령어가 앞의 명령어에 엮여 있으면 안됩니다.
newdir 디렉터리를 실제로는 생성했지만 그 디렉터리로의 이동이 불가능 한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뒤의 명령어가 앞의 명령어에 엮여 있으면 안됩니다. 엠퍼센트가 아닌 세미클론으로 할 경우에는 가능 한 것을 위에서 확인 할 수 있었습니다.
여러 명령어가 아닌 한 명령어를 백그라운드로 실행시키고 싶을떄도 사용 가능합니다.
top은 시스템의 상태(PID, User, CPU, Memory, process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 할 수 있는 명령어입니다. 이와 같은 명령어를 사용하면 다른 작업을 할 수 없기 때문에 다른 프롬프트를 열어야합니다. 하지만 &를 사용하여 백그라운드로 실행시키면 한 터미널에서 여러 작업들을 할 수 있습니다. jobs 명령어로 현재 백그라운드로 돌아가는 명령어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5. 더블 엠퍼센트(&&)
and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더블 엠퍼센트를 기준으로 명령어들을 구분했을때 앞의 명령어가 실행이 안되면 뒤의 명령어도 실행이 안됩니다.
무조건 앞의 명령어가 실행이 되어야 뒤의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mv(move) : 파일이나 디렉터리의 이름을 변경하거나 위치를 이동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이름 변경 : mv [변경할 파일 혹은 디렉터리명] [원하는 파일 혹은 디렉터리명]
위치 이동 : mv [이동할 파일 혹은 디렉터리명] [디렉터리명]
1. 먼저 파일과 디렉터리를 생성하겠습니다.
2. 생성한 파일명과 디렉터리명을 변경해보겠습니다.
test로 시작하던 파일과 디렉터리들이 change로 시작으로 바뀐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3. changefile을 changedir 안으로 이동시켜보겠습니다.
changfile이 changedir 디렉터리 안으로 이동한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리눅스마스터 1급 - 필기 > 리눅스 실무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시스템의 이해 - 셸 변수 & 환경 변수 (0) | 2022.01.24 |
---|---|
리눅스 시스템의 이해 - 셸이란? (0) | 2022.01.24 |
리눅스의 개요 - 개발자 (0) | 2022.01.22 |
리눅스의 개요 - 클러스터링 (0) | 2022.01.22 |
리눅스의 개요 - IVI의 개요 (0) | 2022.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