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운영관리 - tar & 압축 관련 유틸리티

2022. 2. 8. 01:32리눅스마스터 1급 - 필기/리눅스 시스템 관리

tar : tape archive 약어로 테이블 보관소라는 뜻으로 파일들을 묶어 주는 역할을 합니다. 압축의 의미가 아닌 묶어 준다는 것이 포인트입니다. 단순히 tar은 파일들을 묶거나 풀어주는 기능만을 하고 tar의 옵션을 통해 압축 작업도 함께 해줄 수 있습니다.

 

tar 옵션 파일명

 

옵션 (옵션을 사용할 때 '-'는 생략해도 상관 없습니다.) 

c : 지정한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하나로 묶어 새로운 tar 파일을 생성합니다.

x : 하나로 묶은 tar 파일을 풉니다.

v : tar 명령이 실행될때 대상이 되는 파일들을 보여줍니다.

f : tar 파일의 이름을 지정합니다.

Z : compress 관련 옵션으로 압축 파일인 tar.Z에 사용합니다.

z : gzip 관련 옵션으로 압축 파일인 tar.gz에 사용합니다.

j : bzip2 관련 옵션으로 압축 파일인 tar.bz2에 사용합니다.

J : xz 관련 옵션으로 압축 파일인 tar.xz에 사용합니다.

 

압축률은 xz > bzip2 > gzip > compress 순입니다.

 

1. tar의 기본 기능(묶고 풀기, 보통 묶을 때는 cvf, 풀때는 xvf 이렇게 옵션을 묶어서 사용합니다)

 

 

이와 같이 파일 하나든 여러개든 묶은 후의 tar 파일의 크기는 동일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즉 10240 크기의 tar 파일을 생성하고 지정한 파일들을 묶는 것입니다. 묶는 파일들의 크기가 10240이 넘어가면 20480 크기의 tar 파일로 묶습니다.

 

 

이번에는 압축 옵션들을 사용해서 압축 해보겠습니다.

 

2. compress (Z)

 

 

3. gzip (gz)

 

 

4. bzip2 (bz2)

 

 

5. xz (xz)

 

 

분명 압축률은 xz > bzip2 > gzip > compress 순으로 알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직접 확인 해보니 bzip2 > gzip > xz > compress 순으로 나왔습니다. 혹시 압축하는 파일의 크기가 작아서 그런가 싶어 압축하는 파일의 크기를 키워서 다시 해 보았습니다.

 

 

하지만 이번 결과에도 bzip2 > xz > gz > compress 순으로 xz의 압축률은 1등을 하지 못했습니다. 왜 이런 결과가 나오는지 아시는 분들은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압축을 풀때는 그냥 xvf 옵션을 사용해서 해제하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