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1. 19. 01:00ㆍ리눅스마스터 1급 - 필기/리눅스 실무의 이해
운영체제(OS : Operating System)는 컴퓨터 하드웨어와 컴퓨터 사용자 간의 매개체 역할을 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로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운영체제는 사용자와 프로그램 간의 다리 역할을 하며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운영체제, 실질적으로는 커널이 프로그램이 요구하는 작업들을 수행해주는 구조입니다.
커널 : 운영체제(OS)의 심장이자 시스템 자원을 소유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커널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에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다룰 주제는 운영체제중에서도 리눅스입니다.
우분투, Centos7, kali등 리눅스를 공부해보신 분들은 한번씩은 들어보셨을 겁니다. 이것들 모두 리눅스입니다.
이와 같이 리눅스에는 여러 종류의 배포판이 있습니다. 이들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리눅스의 배포판에는 패키지 관리 기법에 따라 크게 슬랙웨어, 데비안, 레드햇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1. 슬랙웨어
- 현존하는 제일 오래된 배포판입니다. (최초의 배포판은 SLS입니다)
- 그래픽 기반의 설치가 없어서 모든 관리를 CLI 환경에서 해야 합니다.
- 소프트웨어 패키지의 의존성 문제도 자동으로 해주지 않기 때문에 수동으로 해야 합니다.
- 내장 소프트웨어 패키지들은 최상단에서 수정되어 배포되기 떄문에 사용자가 패키지를 새롭게 추가하거나 수정하기 어렵습니다.
- 모든 설정이나 관리를 편집기를 통해 텍스트 파일을 직접 수정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관리하기 어렵습니다.
- SuSE, Porteus, Vector Linux, Salix OS 등이 있습니다.
2. 데비안
- dpkg 및 apt라는 패키지 관리 도구를 사용합니다.
- Knoppix, Corel, Lindows, Ubuntu, Linux Mint, Elementary OS, BackTrack, Kali Linux 등이 있습니다.
- Kali Linux 는 BackTrack의 후속 버전이며 수많은 해킹 및 보안 도구를 내장하고 있습니다.
3. 레드햇
- rpm 및 yum이라는 패키지 관리 도구를 사용합니다.
- 레드햇 계열 배포판 중에서도 상용판인 RHEL(Red Hat Enterprise Linux)를 비롯하여 CentOS, Fedora, Oracle Linux, Scientific Linux, Asianux, Mandriva Linux, Mandrake 등이 있습니다.
데비안과 레드햇 계열 배포판들은 독자적인 패키지 관리 도구를 사용하기 때문에 슬랙웨어와는 달리 패키지를 새롭게 추가하거나 수정하기 편리하고 패키지 관리 또한 편리합니다.
리눅스 마스터 자격증에서 필기는 레드햇 계열이라면 CentOS 7, 데비안 계열이라면 ubuntu 15.04 이상을 요구하고 있고 실기는 레드햇 계열의 CentOS 7 이상을 요구 하고 있습니다. (2022-01-20일 기준)
'리눅스마스터 1급 - 필기 > 리눅스 실무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의 개요 - 개발자 (0) | 2022.01.22 |
---|---|
리눅스의 개요 - 클러스터링 (0) | 2022.01.22 |
리눅스의 개요 - IVI의 개요 (0) | 2022.01.21 |
리눅스의 개요 - 모바일 운영체제 (0) | 2022.01.21 |
리눅스의 개요 - 라이선스 (0) | 2022.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