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09)
-
Auto Scaling
※ 해당 블로그는 AWS에서 제공하는 설명서와 AWS Builders Online Series 강의를 듣고 개인적으로 공부한 내용을 정리한 블로그입니다. Auto Scaling 클라우드 컴퓨팅에서 자동으로 리소스를 확장하거나 축소하여 애플리케이션 성능을 최적화하는 기능 서버 인스턴스 수를 동적으로 조절하여 인프라를 효율적으로 활용 가능 갑작스러운 서비스 트래픽 증가 상황에 운영자 개입 없이 자동으로 서버 추가 장애가 발생하더나 해킹으로 인해 인스턴스가 응답하지 않는 상황에도 새로운 인스턴스를 생성하여 항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 *Scale(in, out, up, down) 같은 기능을 사용하여 인스턴스 수 조절 *Scale Out : 서버 수를 늘림 *Scale in : 서버 수를 줄임 *Scale ..
2023.04.09 -
AWS IAM
※ 해당 블로그는 AWS에서 제공하는 설명서와 AWS Builders Online Series 강의를 듣고 개인적으로 공부한 내용을 정리한 블로그입니다. AWS IAM(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 AWS에서 제공하는 인증 및 권한 부여 서비스이며 AWS 리소스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할 수 있음 사용자 관리, 그룹 관리, 역할(Role) 관리, 권한 부여, MFA 활성화 등과 같은 작업 수행 가능 사용자 관리 : IAM을 사용하여 AWS 리소스에 액세스하는 사용자에게 권한을 부여하여 관리 할 수 있음 그룹 관리 : IAM을 사용하여 사용자들을 그룹으로 묶을 수 있으며 해당 그룹에 권한을 할당하여 여러 사람들에게 한번에 액세스 권한을 부여 할 수 있음 역할(Role) 관리 : 역할..
2023.04.07 -
Amazon VPC
※ 해당 블로그는 AWS에서 제공하는 설명서와 AWS Builders Online Series 강의를 듣고 개인적으로 공부한 내용을 정리한 블로그입니다. Amazon VPC(Virtual Private Cloud) AWS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가상의 사설 네트워크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서비스 VPC, *서브넷, *라우팅 테이블, *인터넷 게이트웨이, *NACL 등의 기능을 제공 AWS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들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 가상 네트워크에서 제공하는 기능들이 필요 AWS에는 기본값으로 해당 기능들이 한 개씩 생성되어 있음 *서브넷 : IP 주소를 더 작은 블록으로 나누는 것 퍼블릭 서브넷과 프라이빗 서브넷이 있으며 퍼블릭 서브넷은 인터넷 게이트웨이가 연결되어 있는 라우팅 테이블..
2023.04.07 -
Amazon S3 권한 설정
※ 해당 블로그는 AWS에서 제공하는 설명서와 AWS Builders Online Series 강의를 듣고 개인적으로 공부한 내용을 정리한 블로그입니다. Amazon S3는 AWS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기반 스토리지 서비스로 버킷 내의 객체 단위로 데이터를 저장한다. S3 버킷의 기본 정책은 Private으로 설정 되어 있어 외부로부터의 접근을 차단한다. 만일 외부로부터의 접근을 허용해주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특정 계정에 모든 권한을 부여해주거나 버킷 정책을 Public으로 설정 하면 되지만 너무 많은 권한을 부여하는 것은 권장하지 않는다. 누구나 해당 데이터에 접근 할 수 있다면 주요 데이터로써의 의미를 잃어버리기 때문이다. 그렇기 떄문에 다음과 같은 접근 제어 설정을 통해 특정 대상으로부터만 ..
2023.04.06 -
Amazon S3
※ 해당 블로그는 AWS에서 제공하는 설명서와 AWS Builders Online Series 강의를 듣고 개인적으로 공부한 내용을 정리한 블로그입니다. Amazon S3(Simple Storage Service)? 클라우드 기반 범용적인 스토리지 서비스 데이터는 *버킷(bucket)내의 객체 단위로 저장 원하는 양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보호 높은 가용성을 보장하고 키 기반 액세스를 제공 *다양한 스토리지 클래스 제공 Global File System 3개 이상의 zone에 분산해서 저장 : 재해 또는 재난에 대비 하기 위해 분산 저장 zone : 가상의 데이터센터, 실제 데이터센터의 일부를 빌린뒤 가상화도구(vmware, virtualbox 등)를 활용해서 만듦 *버킷(bucket) - S3에서 데이터를..
2023.04.05 -
Amazon RDS
※ 해당 블로그는 AWS에서 제공하는 설명서와 AWS Builders Online Series 강의를 듣고 개인적으로 공부한 내용을 정리한 블로그입니다. Amazon RDS(Relation Database Service)? AWS에서 제공하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MySQL, PostgreSQL, Oracle, SQL Server, Aurora 등 다양한 DBMS 지원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더욱 쉽게 배포, 운영, 확장 할 수 있도록 지원 관리형 서비스로 AWS가 데이터베이스 인스턴스의 *프로비저닝, 설치, 구성, 백업 등과 같은 관리 작업을 수행 고가용성을 위해 멀티AZ 배포, 읽기 전용 복제본 지원 *프로비저닝 : 컴퓨팅 자원을 준비하고 구성하여 사용 가능한 상태로 만드는 과정, 주로 자동화 과정..
2023.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