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사 - 필기/제1과목 - 소프트웨어 설계(13)
-
디자인 패턴
디자인 패턴이란? - 개발 도중 문제가 발생하면 참조할 수 있는 해결 방식 또는 예제 특징 - 재사용 가능한 코드들이 포함되어 있음 - 개발 도중 문제가 발생하면 그 문제에 해당하는 디자인 패턴을 참고하는 것이 해결에 효과적임 - 가장 대표적인 GoF는 생성 패턴 5개, 구조 패턴 7개, 행위 패턴 11개 총 23개의 디자인 패턴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GoF(Gang of Four) 생성 패턴 : 객체의 생성과 관련된 패턴 - Abstract Factory Pattern - Builder - Factory Method - Prototype - Singleton - 추빌팩토싱 구조패턴 : 클래스나 객체들을 조합하여 더 큰 구조로 만들 수 있게 해주는 패턴 - Adapter - bridge - Compos..
2022.04.11 -
UML
*UML : Unified Modeling Language, 시스템 개발자와 고객간의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표준화된 대표적인 객체지향 모델링 언어 특징 - 가시화 언어 : 개념 모델을 시각적인 그래픽 형태로 표기, 원활한 의사소통 가능 - 구축 언어 :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로 표현, UML을 소스코드로 변환하거나 소스코드를 UML 로 역변환(역공학)이 가능 - 명세화 언어 : 정확하고 완전한 모델 작성 가능 - 문서화 언어 : 요구사항을 표현하고 시스템을 테스트하는 언어도 제공, 일련의 과정을 문서로 남겨 유지 보수 UML 확장 모델의 스테레오 타입 기존 요소 이외 새로운 요소를 만들기 위한 확장 메커니즘 기존 UML 요소를 그대로 사용, 내부 의미는 다른 목적으로 사용하도록 확장 《 》 기..
2022.04.11 -
현행 시스템 분석
1. 플랫폼 기능 분석 플랫폼 : 앱을 구동시키는데 필요한 소프트웨어 환경 유형 - 싱글 사이드 플랫폼 : 공급자와 소비자를 제휴관계로 연결 ex) 구글플레이 - 투 사이드 플랫폼 : 두 그룹을 중개 ex) 소개팅 앱 - 멀티 사이드 플랫폼 : 다양한 그룹들을 연결 ex) SNS 성능 특성 측정 항목 - 경과 시간 : 요청된 시간부터 처리가 완료될 때까지 걸린 시간 - 사용률 : 요청을 처리하는 동안 CPU, 메모리 자원 사용률 - 응답 시간 : 요청을 전달한 시간부터 응답이 도착할 때까지 걸린 시간 - 가용성 : 일정 시간 내에 처리하는 일의 양 2. 플랫폼 성능 특성 분석 3. 운영체제 분석 4. 네트워크 분석 5. DBMS 분석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 - 데이터들..
2022.04.10 -
데이터 흐름도(DFD) & 자료 사전(DD)
데이터 흐름도 DFD(Data Flow Diagram) - 프로세스와 프로세스 간 데이터 흐름을 도형으로 표현하는 주요 도구 - 자료 흐름 그래프 또는 버블 차트라고 부름 구성 요소 - 프로세스(Process) : 원 - 자료 흐름(Data Flow) : 화살표 - 자료 저장소(Data Store) : 직선 - 단말(Terminator) : 사각형 자료 사전(DD, Data Dictionary) - 자료흐름도(DFD)를 기호를 사용하여 자세히 정의하는 것 자료사전의 기호 = : 정의 + : 연결 {} : 반복 [] : 선택 () : 생략 ** : 주석
2022.04.10 -
객체지향(Object-Oriented)
객체지향이란? - 실제 세계를 모델링하여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방법으로, 컴퓨터 부품을 하나씩 사다가 컴퓨터를 조립하는 것처럼 소프트웨어 개발시 각 객체를 조립하여 개발 할 수 있음 구성 요소 1. 클래스(Class) - 하나 이상의 유사한 객체들을 묶어서 하나의 공통된 특성을 표현한 객체의 집합 - 데이터를 추상화하는 단위 - 각각의 객체들이 갖는 속성과 연산(Method)을 정의하고 있는 틀 - 클래스에 속한 각각의 객체를 인스턴스라고 함 2. 객체(Object) - 고유 데이터를 가지며 클래스에서 정의한 행위를 수행함 - 일정한 기억 장소를 갖고 있음 3. 속성(Attribute) - 객체 데이터 4. 메소드(Method) - 객체 행위(함수) - 클래스로부터 생성된 객체를 사용하는 방법 - 객체가..
2022.04.10 -
코드
코드란? 컴퓨터를 이용하여, 자료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분류, 조합 및 집계를 용이하게 하고, 특정 자료의 추출을 쉽게 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기호입니다. 코드는 3가지 기능이 있습니다. - 식별 기능 - 분류 기능 - 배열 기능 종류 1. 순차 코드(Sequence Code) : 일정 기준에 따라 최초의 자료부터 차례로 일련번호를 부여하는 방법 - 1,2,3,4 .... 2. 블록 코드(Block Code) : 공통성이 있는 것끼리 블록으로 구분하고, 각 블록 내에서 일련번호를 부여하는 방법 - 1 ~ 100 : 고급반, 101 ~ 200 : 중급반, 201 ~ 300 : 초급반 3. 10진 코드(Decimal Code) : 0~9까지 10진 분할하고, 다시 그 각각에 대하여 10진 분할하는 방법을 필요한..
2022.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