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27)
-
Linux - 권한(permission)(2)
이번 시간에는 전 시간에 이어서 지금까지 배운 권한에 대해 실습 해 보겠습니다. 전 내용을 안보신 분들은 보고 와주시길 바랍니다. Linux - 권한(permission)(1) 먼저 keum 사용자로 파일과 디렉터리를 생성하겠습니다. 전 시간에 배운 chmod 접근 권한 변경 명령어로 권한을 부여하며 실습 해보겠습니다. owner, group, other 모든 권한을 제거해보겠습니다. 또한 파일과 디렉터리를 담고 있는 상위 디렉터리의 권한 또한 모두 제거하겠습니다. 디렉터리파일의 owner인 keum 사용자가 이 상태에서 할 수 있는것이 있는지 확인 해보겠습니다. * 주의 저희는 지금 연습을 위해 권한을 전부 제거한것입니다. 하지만 이럴경우 무한 로그인 상태가 될 수도 있습니다. 무한 로그인 해결하기 로..
2021.08.01 -
Linux - 권한(permission)(1)
퍄 이번시간에는 권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파일 하나를 조회해보겠습니다. -rw-rw-r-- 이 부분이 파일의 권한 부분입니다. 맨 앞 - 은 일반 파일을 나타내는 기호이기 때문에 정확한 권한 부분은 rw-rw-r--입니다. 이게 정확히 무슨 의미를 가진것일까요? 왜 이러한 권한을 사용하는지 부터 말하자면 리눅스는 여러 사람이 동시에 사용하는 시스템, 멀티유저시스템이기 때문입니다. 내가 사용하는 파일에 다른 사람이 허락없이 접근할 수 있다면 문제가 생길 것입니다. 이러한 문제를 막기 위해서 파일에 접근 할 수 있는 권한을 설정하는 것입니다. 다시 권한 부분으로 돌아가겠습니다. rw-rw-r-- 이 부분은 3부분으로 나눌수 있습니다. rw- rw- r-- : 첫번째는 owner, 가운데는 group..
2021.07.31 -
Linux - 사용자 & 그룹 생성 및 제거
이번 시간에는 사용자와 그룹의 생성과 제거에 대해 공부해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사용자 생성 : useradd 사용자명 사용자를 생성할 때 /etc/default/useradd, /etc/login.defs 이 두 파일들을 참조해서 생성합니다. /etc/default/useradd : 사용자 생성시 첫번째로 참조하는 파일이며 GID, 홈디렉터리 경로, 패스워드 만료 후 유예기간, 계정 종료 일자, 셸 종류, skel 경로, mail spool 생성 여부 등에 대한 설정들이 있습니다. /etc/login.defs : 사용자 생성시 두번째로 참조하는 파일이며 비밀번호 관련 설정(만료일, 최소 최대일, 최소 길이 등), UID, GID 범위, 홈 디렉터리 생성 여부, 암호화 설정 등에 대한 설정들이 있습니..
2021.07.29 -
리눅스 - 리다이렉션(redirection)
이번 시간에는 리다이렉션을 배울것입니다. 리다이렉션(redirection)이란? 다이렉션 : 방향 re : 다시, 즉 방향을 다시 설정할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럼 무슨 방향을 다시 설정 할 수 있다는 걸까요? 바로 입출력 & 오류 출력 방향을 말하는 것입니다. 우선 표준 입출력 & 오류 출력 장치에 대해 배워보겠습니다. 표준 입력 장치는 키보드를 의미하고 표준 출력 장치와 표준 오류 장치는 모니터를 의미합니다. 즉 키보드로 입력을 하면 입력한 결과를 모니터로 출력을 하게되고 오류가 발생시 이 또한 모니터를 통해 보여진다는 뜻입니다. 리다이렉션은 이 표준 장치들을 다시 설정 즉 변경 할 수 있습니다 리눅스에서는 모든 데이터를 파일로 관리한다고 말 한적이 있습니다. 장치들도 파일로 관리하기 때문에 입출력 &..
2021.07.28 -
리눅스 - MAC Time
이번 시간에는 MAC Time대해 공부 해 보겠습니다. 우선 아무 파일 하나 조회 해보겠습니다. 권한 / 하드링크수 / 소유자명 / 그룹명 / 파일 크기 / 생성(수정) 날짜 / 파일명 인것을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 생성(수정) 날짜를 보겠습니다. 7월 25일 20시 13분에 생성 된걸 알 수 있습니다. 이 파일이 수정이 될 때마다 계속 바뀔 날짜입니다. 이 수정 시간을 포함해서 파일시간에는 총 3가지가 있습니다. MAC TIME : M (Modification) A (Access) C (Change) stat 명령을 통해 3가지 시간을 한번에 확인 할 수 있습니다. M (Modification) : 수정, 저희가 방금 알아본 파일 시간입니다. ls -l 조회 명령으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파일이 처..
2021.07.25 -
Linux - 디렉터리 & 파일(3)
이번시간에는 리눅스에서 데이터를 어떤 형태로 관리하고 있는지와 파일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리눅스에선 데이터를 파일 형태로 관리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저희가 지금까지 디렉터리와 파일로 구분 했던것도 사실은 둘다 파일인데 종류만 달랐던 것입니다. 리눅스에서는 외부장치 또한 파일로 관리를 합니다. Linux - 디렉터리 & 파일(1) 에서 dev 디렉터리에 대해 배웠을때 외부장치가 마운트 되면 장치파일 형식으로 dev 디렉터리 안에 보관된다고 언급했었습니다. 이제 파일의 종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파일 구조의 맨 앞을 보면 해당 파일이 무슨 파일인지 알 수 있습니다. 이제 파일의 종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 : 일반 파일 : 텍스트 파일과 바이너리 파일이 있습니다. 텍스트 ..
2021.0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