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마스터 1급 - 필기(52)
-
TCP Wrapper
TCP wrapper - /etc/hosts.allow, /etc/hosts.deny 파일에 접근 리스트를 설정하여 inetd 데몬에 의해 관리되는 서비스들의 접근 제어를 할 수 있습니다. 설정후 inetd 데몬을 재시작해줘야 적용이 됩니다. - TCP wrapper의 데몬 이름은 tcpd입니다. - 설정 파일은 allow - deny 순으로 적용되며 중복시 deny 규칙은 무시됩니다. - 한줄마다 하나의 규칙을 설정할 수 있으며 '서비스명 : 접근 제어의 대상' 형식으로 설정합니다. 여기서 접근 제어의 대상은 호스트명 혹은 ip를 의미합니다. 기본 구문 ALL : ALL : 모든 서비스와 모든 아이피를 허가 또는 거부 sshd : ALL : sshd 서비스에 모든 아이피를 허가 또는 거부 ALL : 1..
2022.03.01 -
가상화
가상화의 기능 1. 공유(Sharing) : 다수의 많은 가상 자원들이 하나의 동일한 물리적 자원과 연결되어 있거나 가리키는 것을 말합니다. 2. 에뮬레이션(Emulation) : 물리적 자원 자체에는 존재 하지 않지만 가상 자원에는 어떤 기능들이나 특성들이 마치 처음부터 존재 했던것처럼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말합니다. 3. 단일화(Aggregation) : 여러 개의 물리적 자원을 하나의 자원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4. 절연(Insulation) : 하나의 가상화 서비스에 문제가 발생해도 다른 서비스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5. 프로비저닝(Provisioning) :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자원을 할당, 배치 할 수 있습니다. 전가상화 Bare-metal / Hypervisor 가상화..
2022.03.01 -
메일 관련 프로그램
1. SMTP :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메일 클라이언트에서 메일 서버로 메일을 전송 할 때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며 포트 25번을 사용합니다. 서버에 도착한 메일 내용을 확인 하기 위해서는 POP 또는 IMAP을 사용해야 합니다. 2. POP3 : Post Office Protocol, 서버에서 도착한 메일을 웹페이지에서 확인 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토콜이며 포트 110번을 사용합니다. 3. IMAP : Internet Mail Access Protocol, POP와 마찬가지로 서버에서 도착한 메일을 웹페이지에서 확인 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토콜이며 포트는 143번 사용합니다. POP3와 IMAP의 차이점 POP3는 로컬 PC에 메일이 저장되지만 IMAP은 메일 서버에 ..
2022.02.28 -
인증 서버 구축 - NFS & NIS
1980년 중반 Sun Microsystems사에서는 NFS와 NIS 두가지 프로토콜을 개발 했습니다. NFS(Network File System) : 다른 컴퓨터의 파일 시스템 일부를 자기 자신의 디렉터리인 것처럼 사용 할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를 말합니다. NFS 클라이언트에서 사용법 mount 명령으로 NFS 서버의 파일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고 /etc/fstab에 등록하면 부팅후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NFS 서버 설정은 /etc/exports에서 설정 할 수 있습니다. mount 및 mount.nfs 사용법 mount -t nfs ip :/nfsdata /mnt : ip주소의 /nfsdata를 /mnt로 마운트 mount.nfs ip :/nfsdata /mnt : ip주소의 nfsdata를 ..
2022.02.26 -
인증 서버 구축 - LDAP
LDAP(Lightwe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 : 경량 디렉터리 접근 프로토콜, DAP 기반으로 만들어진 디렉터리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기 위해 만들어진 통신 규약입니다. DAP(Directory Access Protocol) : OSI 프로토콜 스택에서 작동되며 컴퓨터 자원을 많이 사용합니다. 디렉터리는 논리, 계급 등을 기준으로 조직화 되어 있습니다. LDAP는 IP 프로토콜 기반으로 디렉터리 정보를 공유 할 수 있으며 RDBMS에 비해 검색 속도가 빨라서 읽기 위주의 검색 서비스에서 좋은 성능을 발휘합니다. 다만 자주 변경되는 정보인 경우에는 RDBMS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LDAP는 이름, 주소와 같이 하나 이상의 속성을 가진 객체로 구성됩니다. 속성 c : C..
2022.02.26 -
웹 서버 구축 - 웹 서버 프로그램 종류
웹 서버는 클라이언트로부터 HTTP 요청을 받아 원하는 웹 페이지를 찾아 넘겨주는 역할 을 합니다. 웹 서버 프로그램에는 여러 종류가 있으며 가장 많이 사용하는 프로그램 4가지를 소개 하겠습니다. 1. Apache 프로젝트의 Apache HTTP Server - 가장 많이 사용되는 웹 서버 프로그램으로 프로세스 및 스레드 기반으로 동작합니다. 2. MS의 IIS(Internet Information Server) -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를 사용하는 서버들을 위한 인터넷 기반 서비스입니다. 아파치 다음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웹서버입니다. 3. Google의 GWS(Google Web Server) - 구글 자사의 웹 서비스에 사용하고 있는 웹 서버 프로그램이라는 것만 알면 될거 같습니다. 4. NGINX..
2022.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