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마스터 1급 - 필기(52)
-
일반 운영관리 - 소스 설치법
yum과 rpm을 사용해서 설치하는 경우가 아닌 소스 프로그램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칩니다. 압축 해제 -> 디렉터리 이동 -> configure -> make -> make install 1. 압축 해제 보통 소스 프로그램을 다운 받으면 gz, bz2, xz 등으로 압축이 된 상태입니다. 이를 tar 명령어를 사용해서 압축을 풀어줍니다. 2. 디렉터리 이동 컴파일을 하기 위해 압축이 해제된 디렉터리 내로 이동을 합니다. 3. configure 소스 프로그램의 환경 설정을 해주는 스크립트입니다. 이 스크립트는 컴파일에 필요한 정보를 시스템에서 찾아내서 최종적으로 makefile을 생성합니다. 4. make configure가 만든 makefile을 읽음으로써 실행 가능한 코드와 라이브..
2022.02.12 -
일반 운영관리 - gcc
gcc(GNU Compiler Collection)는 GNU 프로젝트에 의해 만들어진 컴파일러 모음입니다. 리눅스 기반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C 컴파일러 도구이며 C언어로 작성된 파일을 gcc로 컴파일 하면 a.out이라는 실행 파일이 생성됩니다. 사용법 gcc 옵션 파일명 옵션 -o : 컴파일할 때 실행 파일의 이름을 지정하는 옵션입니다. -c : 링크는 하지 않고 오브젝트 파일을 만들 때 사용되며 확장명을 .o으로 파일을 생성합니다. gcc new.c - a.out이라는 실행 파일 생성합니다. gcc -o gccfile new.c - gccfile이라는 실행 파일을 생성합니다. gcc -c new.c - new.o이라는 실행 파일을 생성합니다. 위의 사진과 같이 gcc 버전이 낮아 컴파일이 안될 경..
2022.02.12 -
일반 운영관리 - 사용자 패스워드 변경(passwd)
passwd 명령어는 기본적으로 사용자를 생성시에 패스워드를 부여하거나 기존 패스워드를 변경 하고 싶을 때 변경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주로 옵션 없이 'passswd 사용자' 형태로 많이 사용하지만 단순 부여, 변경 용도가 아닌 다른 용도로 사용할 때는 다음과 같은 옵션들을 사용합니다. * passwd 명령어를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자기 자신의 비번 변경에 사용 가능하지만 다른 사용자의 비번 변경에는 root 권한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옵션을 사용할 경우에는 자기 자신의 비번이라도 root 권한이 필요합니다. - S : 사용자에 대한 패스워드 정보를 알 수 있습니다. '사용자명' 'PS' '패스워드 설정 및 변경된 날' '최소 날짜' '최대 날짜' '패스워드 만기 전 경고일' '만기후 유예기간' '..
2022.02.10 -
리눅스 시스템 관리 - 디스크 쿼터
다수의 사용자들이 동시에 접속 가능한 리눅스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사용자의 용량을 제한하지 않기 때문에 특정 사용자는 용량을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마다 용량을 제한을 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런 제한 기능을 디스크 쿼터라고 합니다. 디스크 쿼터(disk quota) : quota는 한도, 할당량이라는 뜻으로 특정 사용자나 그룹의 디스크 사용량과 생성할 수 있는 파일의 개수(I-node 수)를 제한할 수 있습니다. 이제 디스크 쿼터 설정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etc/fstab 파일 수정 저는 루트디렉터리(/)에 설정된 파일시스템을 이용해서 사용자쿼터로 설정을 해보겠습니다. /etc/fstab 파일에 들어가면 총 6개의 필드가 있습니다. 'U..
2022.02.10 -
일반 운영관리 - 프로세스 우선순위
프로세스에는 우선 순위가 있습니다. 현재 동작중인 프로세스의 상태를 확인 할 수 있는 top 명령어를 통해 이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NI : Nice Value( -20 ~ 19 값으로 표현 할 수 있으며 작을수록 우선 순위가 높습니다) NI의 기본값은 0이며 nice 명령어를 사용해서 우선 순위를 변경 할 수 있습니다. 일반 사용자는 NI 값의 증가만 가능하고 root 사용자만이 NI 값을 감소 시킬 수 있습니다. bash 프로세스의 NI 값을 10만큼 증가 시켰더니 추가로 NI 값이 10 증가한 bash 프로세스가 추가되었습니다. exit 명령어를 치면 추가된 프로세스는 사라지고 원래 프로세스로 돌아갑니다. 10 증가는 10을 입력하지 않아도 됩니다. 즉 nice -10 bash == nice b..
2022.02.08 -
일반 운영관리 - rpm 질의 모드, yum 옵션
rpm과 yum에 대한 기본적인 설명은 다음 링크를 통해 들어가시면 보실 수 있습니다. Linux - 패키지 관리 도구 rpm & yum (tistory.com) rpm의 여러 기능 중 질의(query) 모드에 대해 배워보겠습니다. 옵션 q : 질의 시에 꼭 사용해야 하는 옵션입니다. 패키지를 찾으면 패키지명과 패키지 버전을 출력합니다. i : 설치된 패키지의 정보를 출력합니다. l : 패키지에서 설치한 모든 파일 정보를 출력합니다. a : 시스템에 설치된 모든 패키지 목록을 출력합니다. p : 패키지의 파일에 대한 정보를 출력합니다. 이 옵션 뒤에는 패키지 파일의 정확한 이름을 입력해야 합니다. f : 지정한 파일을 설치한 패키지 이름을 출력합니다. c : 패키지의 설정 파일이나 스크립트 파일을 출력합..
2022.02.08